서울 양천구 목동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뉴스1]
서울 양천구 목동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뉴스1]

[시티타임스=서울] 최근 물가인상으로 공사비가 급등하며 재건축 아파트 단지의 분담금이 커지자 노후 아파트 가격이 하락하고 있다. 치솟은 분담금 탓에 재건축 수익성이 예전 같지 않다는 인식이 확산하는 탓이다.

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양천구 목동신시가지2단지 전용면적 65㎡A타입은 지난달 15일 14억5000만 원에 거래됐다. 이는 이전 최고가(16억 원) 대비 1억5000만 원 낮은 금액이다.

지난 12월부터 15억 원대 아래로 거래가 이뤄지기 시작했는데, 해당 거래가는 지난 2020년 9월(14억9300만 원) 이후 3년여 만이다.

노원구 상계주공14단지 전용 41㎡는 지난달 25일 직전 거래가 보다 2500만 원 내린 3억8000만 원에 거래됐다.

인근의 상계주공9단지 전용 49㎡의 경우 올해 1월까지만 해도 5억 원에 도장을 찍었지만, 지난달 26일 4억 원에 거래되며 가격이 주저앉았다.

만약 이보다 낮은 금액에 매매 계약이 체결되면, 2020년 이후 4년여 만에 3억원대에 진입하게 된다.

이는 공사비 급등과 고금리로 인해 재건축의 사업성이 떨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조합원 분담금이 늘어날 대로 늘어 집값에 육박하는 곳도 나왔다.

실제 상계주공5단지의 경우 재건축 예상 공사비 등을 근거로 분담금을 추산한 결과 소유주가 전용면적 84㎡ 재건축 아파트를 배정받으려면 세대당 분담금이 5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다. 현재 이 단지 실거래 가격이 5억 원 수준이다.

결국 시공사와의 계약을 해지하는 수순까지 이어졌고, 재건축은 지지부진 미뤄지게 됐다.

이 외에도 공사비 눈높이가 맞지 않아 시공사를 찾지 못하거나 공사비 인상으로 조합과 시공사 간 갈등을 빚는 일도 부지기수다. 송파구 잠실진주아파트는 조합과 시공사가 공사비 인상을 두고 수개월째 줄다리기를 이어가고 있어, 분양 일정 등이 미뤄졌다.

재건축 사업은 정비구역 지정 이후 평균 10년 정도 걸리는 사업으로 1년, 2년 사업이 밀리다 보면 현금을 묶어둬야 하는 기간도 그만큼 늘어나는 만큼 투자 선호도가 낮아질 수밖에 없다.

윤수민 NH농협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수익성이 중요한데 지금은 집값도 하락하고 공사비 급등으로 사업성도 안 나온다"며 "특히 지금은 용적률 혜택을 받아 분양을 늘린다고 해도 공사비가 늘어 수익성이 늘어난다고 볼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한동안은 재건축 단지가 외면받는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가격 상승이 수반되지 않는 한은 지금 상황에서 재건축 진행은 어렵다"고 부연했다.

저작권자 © 시티타임스 City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